ㅤ그는 한없이 자책하다가 결국 자기가 진정으로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모르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고 생각했다.
ㅤ사람이 무엇을 희구해야만 하는가를 안다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. 왜냐하면 사람은 한 번밖에 살지 못하고 전생과 현생을 비교할 수도 없으며 현생과 비교하여 후생을 바로잡을 수도 없기 때문이다.
ㅤ테레자와 함께 사는 것이 나을까, 아니면 혼자 사는 것이 나을까?
ㅤ도무지 비교할 길이 없으니 어느 쪽 결정이 좋을지 확인할 길도 없다. 모든 것이 일순간, 난생 처음으로, 준비도 없이 닥친 것이다. 마치 한 번도 리허설을 하지 않고 무대에 오른 배우처럼. 그런데 인생의 첫 번째 리허설이 인생 그 자체라면 인생에는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? 그렇기에 삶은 항상 밑그림 같은 것이다. 그런데 ‘밑그림’이라는 용어도 정확하지 않은 것이, 밑그림은 항상 무엇인가에 대한 초안, 한 작품의 준비 작업인데 비해, 우리 인생이라는 밑그림은 완성작 없는 초안, 무용한 밑그림이다.
ㅤ토마시는 독일 속담을 되뇌었다. einmal ist keinmal. 한 번은 중요치 않다. 한 번뿐인 것은 전혀 없었던 것과 같다. 한 번만 산다는 것은 전혀 살지 않는다는 것과 마찬가지다.
p.17
'문학 > 소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밀란 쿤데라,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(0) | 2021.08.26 |
---|---|
밀란 쿤데라,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(0) | 2021.08.25 |
밀란 쿤데라,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(0) | 2021.08.24 |
이도우,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 (0) | 2021.08.19 |
이도우,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 (0) | 2021.08.19 |
댓글